【프로그램 및 출연자 프로필】 진쇠춤
꽹가리, 징, 장고, 북 악기의 구성으로 농악놀이의 형식 중 꽹과리(진쇠)를 독립적으로 끄집어내어 발놀림, 팔놀림, 몸놀림과 너울사위와 저정거리기 등을 춤사위로 접목시켜 춤의 느림과 빠름을 굿거리, 동살풀이, 휘모리 장단에 맞춰 흥겹고 신명나게 풍류 한마당을 표현한 춤이다.
승무
힘있고 호화로운 장삼놀이는 속세의 번뇌와 수도승의 고행을 표현하듯 공간미적 형태의 아름다움과 내공의 호흡을 표출하는 멋과 흥을 담고있는 춤사위
채상묵
한국전통춤협회 이사장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제97호 살풀이춤 이수자
채상묵무용연구원 대표
경기민요 아리랑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은 일제강점기에는 한민족이 겪어야 했던 고난, 가슴속에 품은 독립을 향한 열망을 표현하는 수단이었고, 오늘날 아리랑은 한민족의 통합에 있어서 국내에서든 해외에서든 우리민족을 하나로 묶고 소통을 가능하게하는 심금을 울리는 한민족의 노래이다. 한오백년 강원도 산간지방의 특유한 정서가 새겨진 민요이나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다. 한오백년은 가락과 가사가 인생의 한을 읊으면서도 생생한 흥겨움이 있어서 누구나 쉽게 부를 수 있는 민요이다. 창부타령 본래 무가(巫歌)의 창부서낭거리에서 불리던 노래가 민요화된 경기도의 대표적 민요이다. 태평가 신민요로 원제는 〈태평연〉이다. 광복 후 명창 이은주가 제목과 가사를 약간씩 바꿔 부르면서 〈태평가〉로 알려졌다. 곡조는 《창부타령(倡夫打令)》을 변주한 것으로 굿거리장단이다.
이호연
중요무형문화재 경기민요 57호 전수교육조교
(사)한국의 소리 숨 이사장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 모집인원:300명(신청은한분당2명까지) ◇ 신청마감:2017년 4월 23일(일)
*신청자 수가 정원을 넘긴 경우 추첨을 통해 초대하는 점 미리 양해 부탁 드립니다.
*당선되신 분에 한하여 강연 1주일 전까지 확인증을 메일로 보내드립니다.
당선되지 못하신 분께는 별도의 연락을 드리지 않는 점 양해바랍니다.